### 토스뱅크
- 연 2% 이자의 자유 입출금 통장
- 다른 은행에서도 입출금이 자유로운 통장에 높은 이자를 주기 시작함
- 모으기 계좌를 만들어 자금을 따로 관리할 수 있지만 이자가 모으기 계좌별로 들어오지 않아 공용자금 관리할 때 불편함. 내가 이자 쓱싹해도 되는 자금이지만 그러고 싶지는 않으니깐.
- 사용하기는 토스가 제일 편리한데. 오픈뱅킹 토스에 다 연결시켜두고 대부분 토스로 이체함. 토스계좌 아니라 다른 계좌끼리의 이체도 토스에서 함.
# 10월 6일
- 토스도 금리 인상 2.3%
- 케이뱅크 플러스박스보다 낮은데 효과가 있으려나?
- 가입자 데이터 돈 받고 팔았다고 해서 마이데이터도 해지했음. 편하긴 했는데.
- 일단은 뱅크샐러드에서 모아보기는 하는데 토스만큼 편하진 않음. 그리고 뱅크샐러드도 언제 같은 문제가 생길지 모르는 일이고.
- 마이데이터 서비스 자체는 좋긴 한데, 데이터를 팔더라도 비실명화된 데이터에 한해서만 팔게 해야하는 거 아닌가?
- 좀 찾아보니 보험 상담 관련해서 안심번호로 정보 제공했다고 함. 마이데이터를 팔아먹은 건 아닌 것 같음.
- 기사는 마이데이터가 판매되면 위험할 수 있다는 얘기를 토스 사례로 섞어서 쓴 것 같음. 어휴 기레기들.
![](https://blog.kakaocdn.net/dn/tdz0J/btrNT7DG1YZ/M7ItqP6f8iySWMc2iKU71k/img.png)
### KDB Hi 비대면 입출금통장
- 연 2.25% 이자의 자유 입출금 통장
- 얼마 전까지 자유 입출금 통장 최고 이자율이었는데(저축은행 제외하고) 케이뱅크 플러스박스가 0.05% 더 줌.
###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 연 2.3%
- 7월에 2.1%로 인상했다는 기사가 나왔는데 9월에는 2.3%가 되었네.
- 계좌 1개당 여러 개의 플러스박스 만들 수 있음.
- 이자가 플러스박스 당 따로 지급되겠지?
- 플러스박스 이자도 연결계좌로 자동이체됨. 이자도 함께 모으고 싶으면 별도로 플러스박스로 옮겨줘야 함.
- 플러스박스 별로 이자가 계산됨.
- 카뱅 세이프박스를 플러스박스로 옮겨야겠음. 0.1%라도 더 받을 수 있으니까. 이자도 별도 계산되고.
![](https://blog.kakaocdn.net/dn/DFxaI/btrNhSVg0cI/SY2MkgMCuZk70WvKErOoO0/img.png)
# 10월 5일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금리 연 2.5%
- 이 정도 금리 차이면 옮겨야지. 산업은행에서 옮겨야겠네.
- 파킹통장 금리를 어떻게 이렇게 줄 수 있지? 손해 보고 주는 건가? 상장하려고?
![](https://blog.kakaocdn.net/dn/WAKoe/btrNLBlM9zY/JPQisEcMPQKR6iSY6K6M61/img.png)
###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 연 2.2%
- 계좌 1개당 세이프박스 1개밖에 못 만듦.
- 세이프박스 이자 별도 지급
- 세이프박스 이자가 별도로 계산되는데 연계된 내 계좌로 자동이체 됨.
- 그래서 이자를 다시 세이프박스로 넣어줘야 함.
![](https://blog.kakaocdn.net/dn/rEK7L/btrMTEw3dbf/4D3YTKKu6Iz33aOx83KdHk/img.png)
# 작년에는 토스에 다 모으면 되었는데 올해는 이자율이 경쟁적으로 올라가니 여기저기 옮겨다니게 되네.
- 케이뱅크로 다 모아? 플러스박스 여러 개 만들어서?
- 다른 데가 더 올라가면 또 옮겨? 귀찮은 것도 같고, 0.05% 이자가 공짜로 생기는데 클릭 몇 번이 뭐가 어렵나 싶기도 하고.
### 3% 이상 준다는 저축은행 파킹통장도 가입해볼까 시도했음.
- 그런데 가입단계에서 신분증 인증에 막혀 못 하고 있는 사이에, 게시판에 해킹 문제며, 앱 불안정성 문제며 이것저것 불만이 보여서 그만 두기로 함.
- 파킹 통장의 돈은 수시입출금에 문제가 없어야 하는데 불안하게 저축은행을 이용할 필요는 없는 것 같음. 예금, 적금은 저축은행에서 가입해도 괜찮을 것 같음. 세금우대(? 저율과세?)인가도 가능한 것 같고.
- 한도제한 해지도 어렵다는 말이 있고
- 지금은 KDB 산업은행에 제일 많이 보관해두고 용도별로 카뱅 세이프박스랑 케뱅 플러스박스에도 일부 보관해 둠.
### 22년 12월 후기 추가
- KDB산업은행과 케이뱅크 플러스박스를 용도별로 나누어서 사용 중임.
- 케이뱅크 플러스박스는 별도 용도의 돈을 보관할 때 좋음. 내 경우에는 계처럼 모으는 여행자금 관리와 엄마 용돈 계좌를 각각 만들어서 관리하는 중. 각 계좌에 이자가 따로 나오니까 입출금계좌로 자동이체되면 다시 넣어줌. 입출금계좌 이자는 0.1%임.
- KDB산업은행은 플러스박스와 같은 별도의 계좌로 옮기지 않아도 입출금통장에서 이자를 많이 주니까 진짜 남는 돈을 넣어둠. 자동이체 이 계좌에 대부분 걸어두고 한 달 동안 나가야 할 돈을 넣어둠.
- 이자율은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3.0%, KDB산업은행 입출금통장 2.65%임.
'돈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장려금 받을 때 가입하면 좋은 이율 높은 적금 탐색 및 가입 후기 (0) | 2022.09.18 |
---|---|
영업점 개설 농협 적금 계좌 비대면 해지 등록 관리 (0) | 2022.09.18 |
신한 체크카드 캐시백 이벤트 문자, 스팸 아님 (0) | 2022.05.21 |
퇴사자 연말정산, 5월 종합소득세 신고 (1) | 2022.05.12 |
우리카드 신규발급 이벤트 혜택 받기 (0) | 202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