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관리

자유적금을 예금처럼? KDB Hi 자유적금

반응형


- KDB Hi 자유적금을 알아보다가 아래의 글을 보게 됨.


*산업은행 4.39% 자유적금 예금처럼 써먹는 꿀팁 글 보시고 질문주시는 분들을 위한 총 정리 - 뽐뿌:재테크포럼
http://m.ppomppu.co.kr/new/bbs_view.php?id=money&no=437125

http://m.ppomppu.co.kr/new/bbs_view.php?id=money&no=437125

m.ppomppu.co.kr



- 처음엔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못 알아들었는데 자꾸 읽다보니 조금 이해됨.

- 자유적금을 예금처럼 활용할 수 있다는 기사도 있고

*100만원 12번? 1200만원 한번에?...적금 이자 최대로 챙기는 비법 - 매일경제
https://m.mk.co.kr/news/economy/view/2021/09/878069/

100만원 12번? 1200만원 한번에?...적금 이자 최대로 챙기는 비법

`당당`한 직장인이 되기 위해 `당장` 알아야 하는 경제, 금융, 시사, 투자 상식을 다루는 `당당하라 직장인`입니다. 주말마다 연재됩니다. 아래 기사는 매일경제 에브리데이 유튜브에 올라간 `당

www.mk.co.kr



- 월 300만원 납입 한도가 있는 상품이니까 3년 300만원 예금을 든다 생각하고, 가입한 첫 달에 300만원을 예치하고 3년을 방치해서 예금처럼 받는다는 것.
- 자유적금이라 가능한 방법인 것 같음.
- 예치할 금액이 많다면 그 금액만큼 적금통장을 여러 개 개설하는 것임. 3천만원을 3년 동안 예금처럼 적금에 넣어놓겠다 하면 통장을 10개를 개설하는 것임.
- 3년이 아니라 1년짜리 예금으로 만들고 싶으면 지금 개설해두고 2년 후에 3000만원을 10개의 통장에 나눠 넣으면 1년 4.41%의 이율을 받을 수 있음.
- 자유적금을 들긴 했었는데 보통 정기적금처럼 납입해서 이런 건 몰랐음.
- 내 경우는 통장 여러개를 만들 필요는 없을 것 같고 1개 정도 만들어서 1년차 첫 달에 300만원, 2년차 첫 달에 300만원 식으로 적금인 듯, 예금인 듯 사용하면 될 것 같음. 넣어둘 돈이 많지도 않고.
- 그래서 일단 1만원으로 신규개설하고 하루 뒤에 자동이체로 299만원 납입하게 지정해놨음. 납입주기는 12개월로 하고. 299만원 납입하고 나서 납입액을 300만원으로 고쳐두면 1년마다 300만원씩 적금 넣는 게 됨.
- 언제 쓸지 모르는 돈이라 300만원씩 쪼개기 예금 들었던 적 있는데 그걸 적금으로 대체하는 것 같음.
- 만기가 3년이니까 혹시 사용할 지도 모르는 돈은 넣으면 안 되고 1년에 300만원은 적금 넣어야지 하면 가입해도 좋을 것 같음.
- 그래도 다달이 적금 넣는 거랑은 느낌이 다르긴 함. 다달이 넣는 적금이 있어야 안 놀고 계속 일하는데.
- 1년 모으면 300만원 모아지는 적금을 따로 들어서 그 적금 만기되면 이 적금통장에 입금해도 될 것 같음.


### 자동이체 등록만 해두어도 0.1% 이율을 더 주는 것 같음.
- 자동이체로 돈을 입금해야 이율을 더 주는 게 아닌 것 같음.
- 자동이체를 등록만 해두면 매번 입금될 때마다 자동이체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등록되어 있으면 0.1% 이율을 더 준다는 것 같음. 자유적립식이라 자동이체로만 입금하지 않을테니까 이런 방식의 가산금리를 주는 것 같음.
- 나의 경우를 보면 굳이 자동이체로 299만원 입금할 필요 없이 1년 후 300만원 입금하는 자동이체를 걸어두고 개설한 날 299만원 추가 입금했어도 가산금리 0.1% 받을 수 있었던 것 같음.




### 우대이율 조건이 자동이체 '설정'이고, 우대조건 만족 여부는 매 납입 시마다 '확인'.
- 가입할 때 자동이체 설정하고 신규로 1만원 입금한 것도 4.41% 적용 받음. 적용 금리는 거래내역에서 확인 가능.



### KDB Hi 자유적금의 금리는 자주 바뀌는 것 같음.
- 내가 가입할 때도 게시판에서 본 금리(4.39%)와 달랐고 지금(4.36%)은 내가 가입한 금리(4.41%)와 또 다름.
- 금리가 계속 오르기만 하는 것도 아님. 지금 금리는 내가 가입한 금리보다 낮음.


### 9월 26일
- KDB Hi 자유적금 금리가 4.61%라서 계좌 1개 더 개설함.
- 2년차 적금은 두 번째 개설한 계좌에 넣어야겠음. 금리 더 오르면 또 개설할지도.
- 신규 1만원으로 개설하고 6개월 자동이체 1만원 걸어 둠. 거래내역 보니 4.61% 이자 적용됨.
- 3년 이상 예금처럼 사용하려면 KDB Hi 자유적금, 1년 정도 예금하려면 KDBdream 자유적금이 이율이 더 높음.
- 금리 계속 올릴테니 이율 더 올라갈 수도 있을 것 같음.




### 9월 27일
- KDBdream 자유적금의 이율이 최고 4.8%여서 이것도 개설함.
- 0.1% 우대이율은 KDBdream Account가 있어야 한다는데 나는 없으니까 4.7%가 최고금리임. 모바일로는 가입 못 하는 상품이거나 없어진 상품인 듯 함.
- 4.7%도 높은 금리니까 일단 만들어 둠. 사실 만들고 나서 0.1% 우대이율 적용 안 되는 거 알았음.
- 10월에 기준금리 올릴 거라 금리는 또 오를 것 같지만 1만원씩 넣어두면 되니까 그냥 만들고 있음.
- 올해 안에 이율 5% 넘을 듯 함. 주식으로도 5% 수익 못 내고 있는데, 안전한 적금으로 5%라니.





### 10월 4일 아침
- 게시판에서 산업은행 적금 금리가 싯가라고 평하던데 진짜 그럼. 하루 하루 다름.
- 5.2%가 보여서 1만원 적금 개설해뒀음.
- 아직 한국은행 금리 올리기 전인데도 이러면 6% 금리도 나오는 거 아닌가 싶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