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크릴과 폴리에스테르는 (-) 전하로 대전
- 울과 나일론은 (+)전하로 대전
- 이 둘이 만나면 전하가 흘러 정전기 생긴다고 말하는 현상이 발생.
- 어느 쪽 소재의 옷과 만나도 안전한 소재는 "면"
- 겨울에 겹쳐입기 할 때 면을 사이에 입어주면 정전기가 덜함
(오랜만에 다시 보니 내가 기억하지 못했던 정보가 있네.)
- 울 스커트에는 나일론 스타킹 괜찮음, 폴리 소재의 하의(또는 폴리 안감을 가진 스커트)에 나일론 스타킹 신으면 정전기 발생, 면 또는 폴리 소재의 스타킹(있나?)이나 레깅스 신어야겠군.
### 이번 겨울에는 정전기가 덜한데, (심할 때는 문손잡이 잡을 때마다 정전기 생겨서 이것저것 사보기도 했음, 효과는 거의 없었지만)
- 내가 저 영상을 보고 면 소재 옷을 챙겨 입은 효과일지도 모름
- 요즘 내 레이어드는 보통 이럼.
1. 면 소재 끈나시
2. 캐시미어나 메리노울 니트 또는 내의
3. 면 소재 셔츠 또는 가디건
4. 아우터
- 아우터의 내부가 보통 폴리에스테르 마감이기 때문에 아우터 바로 안쪽에는 면을 입으려고 함.
- 이너를 울 소재가 아닌 다른 걸 입은 날은 울가디건을 입기도 하는데 그러면 울 가디건 안쪽에 면 티셔츠를 입거나 면 셔츠를 입음. 외투를 벗을 때는 울 가디건과의 사이에서 정전기가 튀는데 문손잡이 잡을 때는 괜찮음. (혹시 문손잡이 소재가 문제인가?)
정보 출처 영상: 유튜브 보라끌레르, 여자가 남자보다 정전기 잘 생기는 이유_옷에도 전류가흐른다?🧨🎃
'입을거리 > 세탁, 관리,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옷 1차 정리, 2차 정리+ 여름옷 꺼내기(업데이트 22.05.) (0) | 2022.03.12 |
---|---|
이번 겨울 정리한 옷들 (0) | 2022.01.13 |
싹솔이 손질 방법, 첫 사용시 (0) | 2021.12.20 |
옷장 재고 파악 숫자로 해보자 (0) | 2021.12.19 |
내가 옷 정리하는 방법, 재고 파악 + 입어 보기 (0) | 202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