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첫째주
- FOMC가 있었는데도 별다른 조정 없이 장이 상승했음
- 빅테크 실적이 안 좋은데도 약한 조정만 왔음
- 고용지수가 좋아서 하락한 게 더 크다고 함
- 2월 소비자물가지수 나올 때까지 관망? 계속 상승?
- 나스닥 지수가 12,000이 넘었음. 금요일 하락인데도 12,000을 넘은 상태를 유지함.
- 하락장에서 나스닥 10,000은 깨지지 않았고, 이제는 새로운 저점이 11,000인가 싶은 상황.
- 침체는 늦게 오더라도 오긴 온다고 함. 그럼 그 침체가 왔을 때 주가는 어떤가 궁금함. 실적 미스와 기업 성장률이 마이너스인데도 빅테크 전저점은 깨지지 않았음. 침체가 온다면 실적이 지금보다 더 무너지는 것인지 궁금함. 다들 기업들 실적이 지금이 바닥인 것처럼 보는 것 같은데 주가가 지금보다 더 내릴 수 있나?
- 기업들 실적은 지금이 저점이라고 하면서 주가는 침체가 오면 더 하락한다고 말하는 것도 이상하고. 같은 사람이 하는 말이 아닐 수도.
- 미니스탁에서 엔비디아 정리함. 이제 남은 미니스탁 주식은 10종목.






### 2월 7일
- 공모주 스튜디오미르 상장
- 이게 시작부터 따상이 된 경우인가? 내 공모주 역사상 첫 따상인 것 같은데.
- 요즘 공모주들이 다 잘 되고 있음. 마이너스인 위니아에이드를 보면서 공모주를 고르고 있는데 아무 공모주나 해도 수익 보는 것처럼 보임. 이러다 아무 거나 하면 제2의 위니아에이드가 나오겠지?
- 공모가 19,500원이었음. 나에겐 공모주 수수료도 없는 미래에셋이라 거래세 약간 외에는 다 수익임. 이 정도 수익도 만족이라 얼른 팔았음.


### 2월 둘째주
- 나스닥 지수 지난주 보다는 하락했음
- 그래도 챗GPT테마로 마소 약간 올랐을 때 10% 이상 수익으로 1주 팔아서 2천달러 미만으로 비중 축소했고, 테마의 최대 수혜주로 보이는 엔비디아도 30% 이상 수익에서 1주 팔았음.
- 엔비디아 1주 파는데 3일이나 걸렸음. 30% 목표가보다 높았던 가격을 보고 나니까 그 높았던 가격에 팔고 싶어짐. 1일차, 목표가보다 종가가 높았지만 더 높은 가격에 팔고 싶어 LOC로 걸어뒀던 매도 취소함. 2일차, 내가 봤던 최근 최고가보다 높은 가격에 지정가 매도 걸어두니 안 팔림. 3일차, 내가 봤던 최고가보다는 낮고 현재가보다는 약간 높은 가격에 지정가 걸어둔 게 팔림. 1주 팔려고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싶긴 했지만 따로 할 일도 없으니까 노력해봤음. 다른 일로 바쁘면 굳이 이렇게 할 일은 아닌 것 같음. 몇십주를 파는 것도 아니고 겨우 1주 파는데 ㅎ
- 챗GPT 바드로 구글이 망신을 당한 후 알파벳 주가가 하락하고 있음. 그동안 상승해서 알파벳C 2주 있던 거 팔았었는데 95달러 미만에서 다시 샀음. 1차 하방 85달러까지 열려있다고 생각하고 1주씩 모아갈 예정.
- 나도 이제는 가격을 지정해서 말하면서 얼마부터 사고 얼마까지 내려갈 수 있다 이렇게 말하네 ㅎ 게시판에서 가격 지정해서 말하는 사람 보면 신기했었는데 별 거 아니네 ㅎㅎㅎ 그분들이야 차트에 줄 그어서 말하는 가격이겠지만.
- 반도체, 성장주가 내려가니까 제약주, 배당주, 신재생이 올라감. 내려가는 폭보다는 오르는 폭이 약하지만 계좌를 보는 내 심리에는 긍정적임.



# 매입금액별 매수 계획
500$미만 -5%
1000$미만 -10%
1500$미만 -15%
2000$미만 -20%
2500$미만 -25%
3000$미만 -30%
- 외우기 쉽도록 조정했음. 달러도 얼마 없기도 하고. 모든 종목에 엄격하게 적용하는 건 아니지만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이 있으면 지금 살까말까 덜 고민함.
### 2월 셋째주
- 나스닥 지수가 12000을 넘었다가 지난주 지수 근처로 내려왔음.
- CPI, PPI 모두 못 나왔음.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느려진 걸 확인함.
- 그동안 연준 인사들이 우리 금리 계속 올릴 거고 올린 상태로 올해 유지할 거야 라고 말 할 때는 협박이 안 먹히더니 인플레이션 수치들이 안 좋게 나오니 이제서야 시장이 정신을 차리는 것 같음.
- 주식 시장은 기대감으로 오르고 현실에 의해 정신 차리는 시장인 것 같음. 그러다 기대가 현실이 되면 계속 상승하고?
- 어쩌다보니 수요일 12,000 찍었을 때 이벤트 등으로 하나씩 사두었던 주식을 매도했었음. 이 정도 수익이면 단기간에 많이 올라서 매도해도 되겠다 하는 수익률이라 매도했더니 그곳이 단기 고점. etf는 15% 수익률 넘기에 매도, 미장 주식은 30% 넘기에 매도함. 하나씩 사둔 거라 수익금이야 소소하지만 고점에 매도했다는 게 기분 좋네.
- 인페이즈에너지가 단기 저점을 형성하고 있는데 내가 정해둔 기준 손실율은 오지않아서 사기에는 애매함. 이러다 다시 올라가면 아쉬울 것 같아서 그냥 사버릴까 하는 생각도 들고, 엔비디아 생각하면 더 저점에서 살 기회가 올 수도 있을 것 같고.
- 매도만 기다림이 필요한 게 아님. 매수도 기다림이 필요함. 매수 기다림이 더 피곤한 것 같음. 매도야 그 기준선 안 오면 안 팔면 그만인데 매수는 사고 싶은데 그 기준선까지 안 왔다고 안 사는 게 힘듦.
- 연금계좌의 예수금으로 CD금리 etf 샀음. 하루에 얼마씩 금리가 주가에 반영되어서 예금이자처럼 받을 수 있는 etf라고 함. 올해는 큰 폭락이 있지 않는 한 연금계좌에서 매수할 생각이 없음. 그렇다고 굳이 얼마 안 되는 예수금을 계좌에서 빼기도 그렇고. 게시판 보다가 저런 상품을 알게 되어서 매수함. 이자 받으면서 두었다가 큰 하락이 오면 다른 etf를 사는 걸로. 올해는 연금저축에 돈을 더이상 안 넣거나 넣더라도 연말에 넣을 계획임.



### 2월 23일
- 인텔 배당 1/3로 삭감, 실적과 가이던스 나올 때부터 우려가 있었는데 현실이 되었음. 파운드리공장도 지어야 하고 투자할 곳이 많으니 배당을 삭감하는 게 정상이긴 하지만 아쉽긴 하네. 25달러 미만으로 내려가면 다시 매수할 예정인데 거기까진 안 오네.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구축 의지를 믿는다고. 그걸 믿으면 인텔 언젠가는 다시 성장하겠지?
- 엔비디아 실적 비트. 엔비디아 실적 발표는 다른 기업 다 끝나고 마지막에 해서 그런지 미스해도 그 전에 선반영되어서 하락이 크지 않았던 것 같고, 비트했는데도 그동안의 조정 때문인지 상승이 단기 고점까진 안 왔음. 엔비디아 고평가 논란은 계속되는데 과연 조정이 올지 모르겠음. 비싸지만 좋은 회사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고, 내려오면 산다는 기관들도 많은 것 같고. 반도체 조정이 다시 오지 않는 한 매수 기회가 있을까? 기준금리 0.25씩 올리거나 고금리를 오래 유지하는 걸로는 엔비디아 조정이 크게 올 것 같진 않은데.

### 2월 넷째주
- PCE 역시 높게 나오니, 금리 계속 올리고 오랫동안 높은 상태로 유지하겠구나를 현실로 받아들이면서 조정받고 있는 것 같음
- 월요일은 휴장. 중간에 반등을 하나 싶었지만 결국 하락함. 하락이 급격하진 않은 걸로 봐서 11,000을 깰 것 같진 않음.
- 몇 종목은 매수 가격에 들어와서 하나씩 사고 있음.




### 2월 마지막주
- 큰 변화는 없음. 조금 상승했다 약간 하락.
- 제약주 하락함. 모더나, 화이자 매수함. 화이자는 다른 제약사 인수 이슈와 코로나 수익 감소 이슈로 하락. 모더나 역시 코로나 수익 감소 이슈로 하락. 모더나는 아니지만 제약사는 배당주로서 조금씩 사는 거라 너무 조바심 내면서 살 필요 없음. 느긋하게 기다리면서 목표 매수가 오면 1주씩 사고 있음. 올라가서 못 사더라도 성장주처럼 매매 수익을 많이 주는 주식은 아니라 아쉬워 할 필요 없음.
- 기업 인수 이슈가 나오면 하락하는 건 알겠음. 그런데 장기투자자에겐 좋은 기회 아닌가 싶음. 문제 없는 회사라면 기업 인수 시에 소모되는 비용 정도는 몇 년 안에 소화할 거고, 결국은 기업 매출이 늘어나 장기적으로 이득 아닌가? 크록스 사례 때문에 장기투자로는 이런 이슈로 하락할 때 더 사둬야한다는 생각이 들고 있음. 어도비도 경쟁기업 인수 이슈가 반독점 소송에 들어갈 거 같아서 많이 하락한다고 함. 지난번에도 어도비 하락할 때 이미 보유한 주식 추가 매수용 달러 밖에 없어서 못 샀는데 또 못 삼. 인연이 아닌가 봐.
- 인텔도 25달러 미만에서 1주씩 LOC 매수 중. 미니스탁에서도 보유한 달러로 인텔 1주씩 매수 중.
- 미래에셋 매입금액 내가 조금 매수하기도 했지만 환율 오르면서 늘어남. 어차피 해외주식 탭에서 따로 보는건데 달러로 보여주면 안 되나? 어차피 달러로만 거래하고 있는데 환율변동에 의한 수익 보는 거 싫음.




### 수익률
- 수익률이 원화로 계산되는 거라 환율 상승의 효과가 포함된 건지도 모르겠음.




'돈 관리 > 월별 주식 거래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거래 후기, 23년 4월 (0) | 2023.04.03 |
---|---|
주식 거래 후기, 23년 3월 (0) | 2023.03.03 |
주식 거래 후기, 23년 1월 (0) | 2023.01.07 |
주식 거래 후기, 22년 12월 (0) | 2022.12.03 |
주식 거래 후기, 22년 11월 (0) | 2022.11.02 |